FPS 팔꿈치 위치 저감도, 고감도 유저에 따른 차이 알려드림


FPS 팔꿈치 위치 선정을 하기 위해 고민이 많을 텐데요 실제 필자는 아마추어 대회도 나가고 FPS 게임도 많이 해보면서 맞는 자세, 감도를 찾기 위해 많이 노력을 했는데 팔꿈치의 위치도 중요하기 때문에 알려드리겠습니다


FPS 팔꿈치 위치 고감도 유저

고감도 유저 1600 DPI 이상을 사용하는 분들은 솔직하게 팔꿈치 높이의 자세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저감도 유저는 팔꿈치 높이가 중요하지만 고감도 유저들은 자신에게 맞는다면 특이한 자세라도 괜찮습니다


고감도 유저들도 일반적인 자세는 있습니다

마우스를 잡았을 때 130도 이상 160도 정도까지 유지를 하는 게 제일 좋겠지만 필자도 고감도도 써봤지만 특별한 분들은 90도 정도까지 하는 고감도 유저들도 보았습니다


그래서 고감도 유저들은 자신에게 맞는 자세로 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하지만 특이한 자세라면 오랜 기간 지나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FPS를 저감도 사용하는 유저 팔꿈치 위치

필자는 저감도를 사용하는 게 더 잘 맞지만 현재는 기록을 내려고 달려드는 건 아니기 때문에 고감도를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감도를 사용하는 유저분들은 자세가 중요한데 팔꿈치를 부채모양으로 회전하는데 자유로운 자세를 만들어야 됩니다

고감도나 일반 유저들의 팔꿈치 각도 120~150도 각도가 아닌 거의 90도 각도의 환경을 만들어야 됩니다

각도나 누워 있으면 팔꿈치의 회전 반경이 불편하기 때문에 더 모니터 쪽으로 붙어서 각도를 세워야 됩니다


확실히 저감도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인 분들도 실력이 빠르게 늘어나긴 하지만 자세보다도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마우스의 가용 범위입니다

마우스의 가용 범위가 아래쪽으로 넓어야지 길게 끌고 내리는 게 가능합니다


그래서 저감도의 유저라면 팔꿈치의 각도보다 “기역” 모양의 게임 테이블을 사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게 얼마나 중요하냐면 일반적인 게이밍 테이블은 대부분 50cm를 넘지 않습니다

모니터를 그 책상에 놓는다면 가용 범위가 더 작아질 겁니다

가용을 한다고 해도 기본으로 오른쪽이 앞쪽으로 쭉 나가있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그래서 “기역” 모양의 테이블을 사용해야 일반적인 자세를 잡고 있다가 필요할 때만 아래까지 내릴 수 있는 테이블이 좋습니다

아우스 위너렉스 L시리즈 카본 LED 게이밍책상 컴퓨터책상 FPS 팔꿈치 위치 좌 우 선택가능 1400 1600 1800, RGB형(화이트) 1400(L)

쿠팡 파트너스 활동은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저감도를 사용하면 FPS 게임의 실력 향상은 무조건 됩니다

필자가 여러 유저들을 FPS를 가리키면서 저감도로 갔을 때 팔 움직이는 건 힘들어하지만 에임 정확도는 확실하게 올라갑니다

필자도 저감도를 갔다가 서서히 풀면서 에임을 고감도까지 맞췄지만 정확도는 저감도가 훨씬 더 잘 맞았습니다


FPS 팔꿈치 위치 따른 실력의 변화는 크게 없지만 팔꿈치의 위치가 오래 게임을 하느냐 마느냐는 결정을 합니다

실력이 향상이 되더라도 자세 때문에 통증이 온다면 다른 방법을 구상해 보시길 바랍니다

잠깐은 실력이 나와도 즐거운 게임 생활을 오래 해야 되는 게 맞는다고 봅니다.